지난 13일, 국가정보원은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이 북한과 '핵동결・군축'을 고리로 한 '스몰딜'이 가능하다고 전망하였다. '핵동결'이란 '비핵화'와는 다른 개념으로서, 현재까지 북한이 만든 핵무기는 인정하되, 더 이상 추가로 만들진 않는다는 조약을 맺는다는 뜻이다. 군축은 군사력 규모를 단게적으로 축소해나가 지역 평화를 정착시킨다는 뜻이다.
지난 트럼프 행정부 1기에는 북한은 '비핵화'를, 미국은 '주한미군 철수, 북미 수교 및 대북제제 해제'를 한날 한시에 동시에 하는 이른바 '빅 딜'을 트럼프 대통령의 주도로 추진한 바 있었다. 그러나 단계적・점진적 해법을 추구한 북한과의 견해 차이로 그 결실을 맺지는 못 하였다.
이번 국가정보원의 전망은, 트럼프 행정부 2기가 출범하면 지난 시기 '빅딜'만을 추구하며 결실을 이루지 못 한 사례를 반면교사삼아, 보다 작은 범위에서 '스몰딜'을 노릴 것이라는 추측으로 읽힌다. 만일 이와 같은 '스몰딜'이 성사되면 북한은 추가 핵무기 생산은 막힐지언정 현재 보유중인 핵무기는 인정받는, 사실상의 핵보유국으로 등극하게 된다. 이미 여러 차례 지난 1기 당시 트럼프 대통령의 친북적인 행보가 여러 전문가와 매체의 주목을 받은 바 있으며, 복수의 전문가들로부터 트럼프 2기 때에는 트럼프 정권이 북한을 확고한 핵보유국으로 인정해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