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의 샤름 엘 셰이크에서 제27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7) 회의가 2022년 11월
6일부터 11월 18일까지
열렸다. 이번 회의에서는 ‘화석 연료에서 청정 에너지로의
전환’을 강조하였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세계 에너지 시장이 흔들렸고 석탄을 포함한 화석 연료의 사용이 전세계적으로 증가되었다는 점을 회의의 주요 내용으로
다뤘다. 에너지 안보, 기후변화 대처와 관련된 많은 국가의
다양한 사례와 정책을 통해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 피해국인 개발도상국들이 입은 피해에 대한 보상안에 대해서도 논의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개도국의 ‘손실과 피해’ 보상
요구에 선진국이 계속 저항하면서 협상이 예정된 날짜를 넘겨서까지 이어졌고 재원 조달 문제도 말끔하게 해결되지 못했다. 손실과 피해 보상에 합의할 경우 기후 위기 촉발의 무한 책임을 지고 천문학적인 액수를 보상해야 하는 선진국의
저항도 만만치 않았다.
개도국의 거센 기후재앙 보상 요구 속에서 유럽연합이 중재자 역할을 하고,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만난 미국과 중국 정상이
양자 간 기후 대응 논의를 재개하기로 하면서 분위기가 다소 반전됐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집트 연설에서
미국이 ‘기후 지옥’을 피하기 위해 우리의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전 세계 국가가 지구 온난화의 위협을 받고 있고 미국의 선례를 바탕으로 집단적으로
행동해야 위기에 대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은 ‘손실과
피해’ 기금 문제에 대해 선진국들에게 책임을 물었으며, 신재생에너지
부문에서의 발전과 변혁을 강조하였다.
총회는 18일(현지시간)에 폐막 예정이었으나, 주요 쟁점에 대한 당사국 간 견해차로 20일(현지시간) 새벽까지
마라톤 연장 협상 끝에 극적으로 마무리됐다. 더 잦아지고 혹독해진 기후 재앙을 겪는 개발도상국의 ‘손실과 피해’ 봉상을 위한 기금 조성이 극적으로 타결되었다.
하지만 기금 조성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졌을 뿐, 어떤 종류의 피해를
보상에 포함할지 여부와 언제부터 발생한 피해를 보상 대상으로 결정할지 등의 구체적인 논의는 진행되지 않았다. 또한
재원을 어디서 마련할지 등도 논의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기금 운용 방식을 두고 격론이 예상되고 있다.
*해당 기사는 연합뉴스, KBS의 기사를 일부 인용하여 작성되었습니다.
[한국 청소년·청년신문 대학생기자단 김유나]
- 본 기사의 내용은 한국 청소년·청년신문의 공식 입장이 아니며, 기자단 개인의 입장일 수 있음을 밝힙니다. -